이차 전지가 전반적으로 저점에서 더 이상 하락하지 않고, 횡보 or 기술적 반등 구간에 놓여있습니다. 우리나라 주식 대장주인 LG에너지솔루션 및 삼성SDI 또한 비슷한 움직임입니다.
금일은 이차 전지 글로벌 대장주인 Albemarle(알버말, ALB)의 기술적 분석과 전망 알아보는 시간 가져보겠습니다. 더불어 이차 전지 섹터의 현재 분위기 그리고 이후 이 종목의 매매 전략까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1. 최근 이차 전지 섹터 동향
2023~2024년 동안 급락한 리튬 및 이차전지 종목은 리튬 가격 급락, 공급 과잉 우려 그리고 중국발 수요 둔화 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하락 추세를 이어왔습니다.
일례로 2024년 작년 한 해 우리나라 배터리 3사 실적은 사상 최악의 실적을 맞이했습니다. (셀 3사뿐 아니라 소재 업체 또한 2023년 대비 -40~50% 하락). 그리고 이런 움직임으로 주가 또한 저점을 지속 이탈하면서 시장에서 신뢰를 잃었습니다.
그러나 2025년 들어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본격 시행, 유럽의 전기차 보조금 확대, 주요 업체들의 감산 등으로 인해 전기차용 배터리 수요 회복 기대감이 다시 부상하고 있습니다. 악재는 더 이상 없다는 관점이며, 이제 조그마한 호재에도 반등할 가능성이 높은 시점입니다.
특히 7월 or 9월부터 미국에서 금리인하 시작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는 유동성 공급으로 소비자들의 소비력이 더 증가하고, 비싼 자동차, PC, 핸드폰 등으로 소비가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리튬 가격: 2024년 저점 확인 및 반등세
- IRA 정책: AMPC(생산자 세액 공제)는 변화 없음. (미국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 수혜)
- 미국 내 배터리 밸류 체인 내재화 전략 강화
이러한 흐름 속에서, 리튬 공급체인 최상단에 위치한 Albemarle은 주목받는 핵심 종목 중 하나입니다.
2. Albemarle(ALB): 세계 최대 리튬 생산 기업
1) 주요 사업
- 설립 연도: 1994년(뉴욕 증시 상장)
- 본사: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 주요 사업
사업 분야 | 매출 비중 | 설명 |
Lithium | 약 65% | 리튬 채굴 및 정제. 전기차 배터리용 리튬 공급 |
Bromine | 약 20% | 난연제 등 화학 소재 |
Catalysts | 약 15% | 석유 화학 촉매 등 정제 소재 및 재료 |
- 세계 1~2위 다투는 리튬 생산량
- 미국, 호주, 칠레 등 핵심 광산 확보
- 테슬라, 파나소닉, BYD 등과 공급 중
2) 비즈니스 포지셔닝
- 리튬 Upstream 기업(원재료 채굴 및 정제 중심)
- 기술력 + 장기 공급 계약 => 안정성 확보
- IRA 법안에 따른 미국 내 생산 확대 수혜
3) 기술적 분석
월봉으로 약 5년 이상 본다면, 2020년 상승 시작 및 2023년부터 다시 하락했습니다. 큰 산 하나 만들면서 역사적 저점 위치에서 충분히 기간 조정 및 가격 조전 받고, 현재 횡보 중입니다.
즉, 더 이상 내려갈 지하실이 거의 없습니다. 물론 저점 48 USD까지 열려있지만 현재 증시가 좋기 때문에 내려갈 확률보다 올라갈 확률이 훨씬 더 높습니다. 중/장기적으로 전체 파동의 중간 150 USD까지는 충분히 도달할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세계 1등 기업 그리고 재무도 안정적이기 때문에 지금부터 눈여겨봐야 합니다. 금리 인하 이후 반등할 가능성 매우 높기 때문에 지금부터 저점 매수 가능한 차트입니다.
다만 역사적 신저가 근처에 있으며, 아직 주가 및 이동평균선이 역배열입니다. 60월 이동평균선과도 이격도나 너무 크게 벌어졌기 때문에 투자 심리 및 수급 개선이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거래량 터지면서 이런 모든 조건이 실현된다면 그때부터 본격적 상승 추세 전환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3) 투자 리스크
- 리튬 가격 변동성(최근 2년간 급등락 반복)
- 중국 리튬 업체와의 경쟁 심화(BYD 공급 중이지만 밸류 체인 변동 가능성)
- 정치적 규제 리스크(남미 국가의 광산 국유화 움직임)
- 환경 규제 및 ESG 압력 상승
3. 매매 전략 및 결론
1) 매매 전략
구분 | 매수가 | 목표가 | 손절가 |
단기 | 60~55 USD 사이 (현재 매수 가능) |
85 USD(1차 매도) (100 USD 이후 자율 매도) |
50 USD 이탈 시 |
중/장기 | 80~60 USD 분할 매수 (80 USD 돌파 매매 가능) |
1차 매도: 100~110 USD 2차 매도: 140~150 USD 3차 매: 200 USD (이후 자율 매도) |
1차 손절: 55 USD 이탈 시 2차 손절: 50 USD 이탈 시 (50 USD 지지 시 매수 가능) |
2) 결론
Albemarle은 단기적으로 리튬 가격 변동 및 글로벌 수요 둔화로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중/장기로 미국 내 자원 내재화 흐름과 금리 인하 이후 전기차 전환 속도에 따른 수혜가 예상되는 종목입니다.
기술적으로 단기 반등 시그널 움직임 포착되고 있으며, 중/장기 투자자 입장에서는 충분히 분할 매수 전략 및 2~3년 정도 기다린다면 분명히 좋은 성과 있으리라 믿습니다.
'주식차트분석(해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뢰딩거(SDGR), AI 신약 개발 강자! 전망 및 성장, 그리고 투자 전략은? (5) | 2025.07.19 |
---|---|
Solid Power(SLDP), 지금이 저점 매수 기회? 미국 전고체 산업 및 투자 분석! (3) | 2025.07.12 |
엔비디아(NVDA) AI 혁명의 선두에서 역사적 신고가 경신! 그 배경과 전망 그리고 투자 전략은? (4) | 2025.06.28 |
Circle(CRCL), 규제 수혜로 급등! 월가 목표가 및 전망 총정리 (1) | 2025.06.22 |
미국 장기채 ETF TLT, 반등 시점은? 금리 인하 시나리오로 분석! (0) | 2025.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