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차트분석(해외)

엔비디아(NVDA) AI 혁명의 선두에서 역사적 신고가 경신! 그 배경과 전망 그리고 투자 전략은?

by 부자오빵! 2025. 6. 28.

어젯밤 엔비디아(NVDA)가 다시 한번 역사적 신고가(158 USD)에 도달하면서, 애플(AAPL)을 제치고 시총 1위 탈환했습니다. 도대체 이 주식은 왜 이렇게 오르는 걸까요? 그리고 이런 상승세는 언제까지 이어질까? 이런 궁금증이 생길 수 있는 시점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엔비디아가 신고가를 경신한 배경 및 원인 그리고 향후 전망 및 잠재력과 함께 투자 전략도 제시하고자 합니다. 동시에 투자자들이 고려해야 할 사항까지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엔비디아-NVDA-썸네일
엔비디아(NVDA) 신고가 경신 이유 및 전망

 

 

서론: 엔비디아 신고가 경신 이유는?

 

 

1. AI 반도체 시장의 압도적 지배력

 

1) GPU 기술의 독점적 우위

 

엔비디아의 GPU가 최신 AI 학습 및 추론에 최적화된 기술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이크론 및 AMD 등 경쟁사들도 최근 뛰어들고 있지만, 아직 이 시장에서 압도적 성능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점유율 70% 이상인만큼, 아직 경쟁사 대비 월등하기 때문에 당분간 이러한 흐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2) 데이터 센터 매출의 폭발적 성장

 

AI 시대의 데이터 센터 구축 열풍과 엔비디아의 A100 및 HBM(최근 Blackwell) 등 데이터 센터 용 GPU 수요 역시 급증 중입니다. 주요 공급사인 SK하이닉스는 이미 올해 수주 잔고가 다 찼으며, 내년 상반기 이후 주문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삼성전자 또한 HBM3E 제품이 퀄리티 테스트 통과 임박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대규모 수주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마이크론 역시 엔비디아 공급망에 합류하면서 비중을 점점 늘려가고 있고, 전체 HBM 시장의 잔고는 향후 3년 이상 매우 견고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3) 생성형 AI 시대 최대 수혜주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 모델의 등장으로 AI 반도체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구글의 BARD, 마이크로소프트의 제미나이, 테슬라의 그록3 등 그리고 중국 AI까지 약 10개 정도가 글로벌 리더입니다. 우리나라 또한 네이버를 비롯해 제품 출시 예정입니다.

 

 

즉, 이런 LLM(Large Language Model)이 증가함에 따라 AI 반도체가 더 필요하게 되며, 그 중심에 엔비디아가 있습니다. 2022년 말 ChatGPT가 처음 등장했으며, 이제 3년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생성형 AI는 더욱 발전하고, 다양한 모델이 더 많이 생기게 될 것입니다.

 

 

2. 소프트웨어 생태계 구축

 

1) CUDA 플랫폼의 강력한 Lock-in 효과

 

CUDA가 개발자들에게 제공하는 편의성과 광범위한 생태계가 엔비디아의 독점적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하드웨어 판매를 하는 것이 아닌, 개발자 친화적인 편의성과 기술성은 제품 그 이상의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2) 네트워크 기술 확장

 

InfiniBand 등 고속 네트워크 기술을 통해 데이터 센터 내 GPU 간 통신 효율을 극대화하여 AI 워크로드 성능을 향상하고 있습니다. 이런 사용자 친화적인 네트워크 역시 엔비디아의 장점입니다.

 

 

3. 견고한 실적과 재무 건전성

 

1) 지난해 매출 1305억 달러(+114% YoY), GAAP 순이익은 728억 달러(+145%) 그리고 Non-GAAP EPS는 2.99 달러(+130)를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올해 역시 총매출 +69%, 데이터 센터 매출 +73% 그리고 Non-GAAP EPS는 0.96 달러로 대폭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2) 부채율이 10% 미만이며, 유동성 역시 현금 및 단기 투자 약 537억 달러, 총부채는 85억 달러 수준으로 재무 리스크가 거의 없습니다. 총 자산 1252억 달러 대비 총부채는 414억 달러로 견실한 재무 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엔비디아는 AI 반도체 시장의 리더로서, 압도적 점유율과 튼튼한 재무 및 성장 기대감으로 투자자들에게 신뢰받고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로봇공학, 자율주행 그리고 메타버스 등 AI 이외의 다양한 미래 성장 동력에 대한 투자와 기술 역시 안정적입니다.

 

엔비디아.. AI 다음은 로보틱스

 

 

 

본론: 엔비디아의 향후 전망 및 고려 사항은?

 

1. 긍정적 전망

 

1) AI 시장의 지속적 성장

 

AI 산업 자체가 초기 단계이며, 앞으로도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엔비디아의 성장 잠재력도 매우 큽니다. 향후 2030년까지 매년 성장률(CAGR) 최소 22%부터 최대 37%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엔비디아 성장성 역시 증가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2) 신제품 출시 및 기술 혁신

 

Blackwell과 같은 차세대 반도체와 기술 리더십을 유지하고 시장 지배력이 점점 더 강화된다면 이는 실적 증가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3) 고객 다변화 및 응용 분야 확장

 

현재 데이터 센터, PC 그리고 핸드폰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후 정부 및 기업, 그리고 가정 분야까지 AI 도입이 확장된다면 고객사 확대에 따른 회사 성장에 기여할 것입니다.

 

 

2. 위험 요소

 

1) 경쟁 심화

 

AMD, 인텔, 마이크론 등 경쟁사 역시 이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또한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 기업 역시 자체 AI 칩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현재 엔비디아가 거의 독점하고 있지만 향후 경쟁 심화 된다면 시장 점유율 및 수익성에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높은 밸류에이션

 

이미 주가는 신고가를 경신하면서 기대감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습니다. PER은 약 50배(12M fwd는 24~30배), PBR은 약 25 정도로 기술주 치고는 아직 고평가는 아닙니다. 하지만 EV/EBITDA는 약 40으로 경쟁 업종 대비 2배 이상 높습니다. 평균적으로 전체 밸류에이션은 업계 평균보다 월등히 높기 때문에 투자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3) 미-중 관세 리스크

 

지금도 미-중 관세 문제로 인해 AI 반도체의 중국 수출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이 글로벌 전체 시장의 약 30% 이상 차지하는 만큼 이는 가장 중요한 이슈입니다. 수출 통제가 된다면 기대만큼 실적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며 이에 주가 역시 하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4) 경기 침체 및 IT 투자 둔화 가능성

 

관세 이슈가 지속된다면 기업의 투자 심리가 악영향을 받을 수 입습니다. 특히 기술주 및 빅테크 기업은 공장 건설로 인한 CAPA 증설이 이뤄져야 실적으로 이어집니다. 하지만 관세 문제로 경기가 둔화된다면 AI 투자 역시 줄어들 것이고, 이에 대한 투자 심리 또한 하락할 수 있다는 점은 고려해야 합니다.

 

 

 

 

3. 결론: 투자 전략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만큼, 각종 기관 및 월가 전문가들의 의견 역시 다양합니다. 주요 기관 및 평가사는 하기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기관 목표가 이유
Loop Capital 250 USD AI 골든 웨이브 수혜 전망
Barclays 200 USD AI 데이터센터 수요 강화 
및 마진 확대 근거
Melius Research 205 USD AI 시장 건전성 강조
Oppenheimer Outperform 유지 AI 및 풀스택 솔루션 강점 부각
Jefferies & UBS 평가 없음 Blackwell AI 칩으로 향후 AI 인프라
분야 최대 수익 기회 평가
Business Insider/
Marketwatch
평가 없음 중국 수출 규제에도 불구,
수요는 견고 =>
기관 투자자 강세 흐름 대응 

 

 

루프 캐피털.. 엔비디아 주가 상향

 

구분 목표가 현재(157 USD) 대비
최고 목표가 250 USD +58%
최저 목표가 100 USD -36%
중간 목표가 175 USD +11%

 

 

대부분 월가 전문가 역시 강력 매수 혹은 매수 의견이 대다수입니다. (66명 중 50명 정도) 그리고 평균 가격은 173 USD로, 현재 가격 대비 기본적으로 10% 이상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구분 목표가 전략
단기 투자자 175 USD 도달 시, 일부 매도 및 보유
중/장기 투자자 250 USD 200 USD 1차 매도. 
(AI 구조적 기대감 유지 시 홀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