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차트분석(해외)

[금융주] 뱅크 오브 아메리카(BAC) 주가 전망 및 차트 분석 - 2025.05.04

by 부자오빵! 2025. 5. 4.

뱅크 오브 아메리카(BAC) 주가 전망 

 

 

미국 은행주이자 금융주 뱅크 오브 아메리카(Bank Of America, BAC) 주가 전망 및 차트 분석해 보겠습니다. 최근 미-중 관세 등의 매크로 최악을 딛고 밑에서 조금씩 반등 중입니다. 과연 이 종목의 추세 및 파동 그리고 지지 및 저항 가격대는 어디인지 일봉, 주봉 및 월봉으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1. 일봉 차트(Daily chart)

 

뱅크오브아메리카-BAC-일봉-차트
뱅크 오브 아메리카(BAC) 일봉 차트

 

 

1) 추세 및 파동

 

1년 전부터 본다면 올해까지 쭉 저점과 고점이 올라가는 우상향 추세였습니다. 이중 천장(Double Top) 찍고, 우하향 추세로 전환되었습니다. 장기 이동평균선마저 이탈하면서 최근까지 급락 추세입니다.

 

 

전체적으로 '역 헤드 & 숄더(Inverse Head & Shoulders) 패턴'입니다. 4월 초 신저가 경신 이후 다시 N 반등 및 장기 이동평균선 돌파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합니다. 하지만 아직 하락 추세가 전환되었다고 볼 수 없습니다.

 

 

2) 지지 및 저항

 

43~44 USD 정도가 1차 저항입니다. 작년 및 올해 전고점이 많은 가격이기 때문에 저항이 많습니다. 돌파한다면 전고점 46~48 USD까지 열려있습니다. 이마저 돌파한다면 신고가 경신이므로 당분간 더 크게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주가 하락 시, 어깨 가격 39~38 USD 정도가 1차 지지 가격입니다. 440일 장기 이동평균선 위치하므로 지지한다면 그나마 의미 있습니다. 이후 36 USD 역시 좋은 지지 가격입니다.

 

 

하지만 이 정도까지 하락한다면 최근 매수세가 어느 정도 나간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이탈한다면 최저점까지도 더 하락할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일봉 전반적으로 4월 9일 거래량 터진 장대 양봉이 기준 봉입니다. (원으로 표시) 이후 이 캔들의 저점 깨지 않고 우상향 하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입니다. 

 

 

이동평균선 역시 역배열에서 5일 이동평균선이 20일 이동평균선 골드크로스 했고, 주가 역시 440일 이동평균선 위로 올라왔기 때문에 정배열 초기 구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구름대(일목균형표) 상단마저 돌파한다면 추세적 상승까지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2. 주봉 차트 (Weekly chart)

 

뱅크오브아메리카-BAC-주봉-차트
뱅크 오브 아메리카(BAC) 주봉 차트

 

 

1) 추세 및 파동

 

2022년부터 더 크게 본다면 고점 이후 우하향 추세 전환 및 약 2년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하지만 2023년 신저가 경신 이후 다시 우상향 추세로 전환되었고, 52주 신고가 경신 이후 현재 조정 파동입니다. 

 

 

전체적으로 약 4년 동안 좌우가 동일한 데칼코마니 차트입니다. (파란색 세로선 기준) 즉, 주가 등락 폭이 일정하면서 예측할 수 있는 안정적인 차트라는 점이 눈에 띕니다.

 

 

2) 지지 및 저항

 

전고점 42~45 USD가 1차 저항입니다. 이 고비만 넘긴다면 전고점 47 USD 도달까지는 시간문제입니다. 이마저 돌파한다면 2022년 최고점 50 USD까지 충분히 올라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주가 하락 시, 200주 이동평균선 위치한 37~36 USD가 지지 가격입니다. 전저점 이기도 하므로 지지한다면 매수세가 아직 남아있기 때문에 유의미합니다.

 

 

하지만 35~33 USD는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최저점이자 이중 바닥이기 때문에 이탈한다면 추세 이탈 및 더 크게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30 USD 혹은 그 이하까지 열려있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주봉 전반적으로 2023년 후반부터 우상향 및 N자 반등이 고무적입니다. 올해 초까지 이중 천장(Double Top) 찍고 다시 내려왔다는 점에서는 다소 아쉽습니다. 그리고 중요 보조 지표 데드크로스 했다는 점 또한 좋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중 저점(Double Bottom)까지 하락하지 않고, 특정 가격에서 지지받고 반등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유의미합니다. 그리고 양봉 연속 4개 출현하면서 전고점 하나씩 돌파하고 있다는 점 또한 긍정적입니다. 그리고 구름대 상단까지 주가는 이미 올라왔으며, 기준선(굵은 검은색 곡선)마저 돌파했기 때문에 고무적입니다. 

 

 

3월 말 장대 음봉 + 거래량 급증이 기준 봉입니다. (원으로 표시) 이 캔들의 상단 가격 약 42 USD 돌파가 중요합니다. 이 가격 돌파 및 지지한다며 추세적 상승이 조금 더 지속될 가능성 큽니다. 반대로 이 음봉의 중간 36 USD 이탈한다면 더 밑으로 하락할 수 있습니다.

 

 

 

3. 월봉 차트(Monthly chart)

 

뱅크오브아메리카-BAC-월봉-차트
뱅크 오브 아메리카(BAC) 월봉 차트

 

 

 

1) 추세 및 파동

 

약 10년 정도 더 길게 본다면 삼각 수렴형 패턴입니다. 고점은 이중 천장으로 일정하고, 저점은 점점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이후가 더 기대되는 차트이기도 합니다.

 

 

비록 이중 천장에서 다시 하락했지만 60월 이동평균선 위에서 지지받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입니다. 35 USD 근처이며 밑꼬리가 길게 달렸기 때문에 이 가격만 잘 지킨다면 언제든지 다시 최고점까지 도달할 수 있습니다. 

 

 

2) 지지 및 저항

 

42~43 USD가 1차 저항입니다. 5월 및 10월 이동평균선이 동시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지한다면 아직 세력이 남아있다고 판단하며 이후 더 크게 올라갈 수 있습니다. 이후 45 USD 및 이중 천장 가격 48~50 USD까지 더 치고 올라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주가 하락 시, 하단 추세선 및 60월 이동평균선 위치한 36~35 USD가 1차 지지 가격입니다. 밑꼬리가 긴 저점이므로 이탈한다면 중/장기 세력이 이미 빠진 것으로 판단하며 30 USD까지 더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월봉 전반적으로 저점을 점점 높이고 있다는 점이 제일 눈에 띕니다. 그리고 5년 넘게 60월 이동평균선 거의 이탈하지 않았다는 점 또한 유의미합니다. 

 

 

이번 달 마감 봉이 지난달 고점 42 USD 혹은 45 USD마저 돌파하면서 마감된다면 이후 훨씬 더 긍정적입니다. 그렇지 않고 이 가격 돌파하지 못하거나, 음봉 마감한다면 상승까지 조금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미국을 대표하는 은행 주식 뱅크 오브 아메리카(BAC) 주가 전망 및 차트 분석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이 종목의 추세 및 파동 그리고 지지 및 저항 가격대를 일봉, 주봉 및 월봉으로 확인해 보았습니다.

 

 

결론적으로 주가 상승 시 42~45 USD 돌파 유무, 그리고 하락 시 36~35 USD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45 USD마저 돌파한다면 47 USD 및 50 USD까지 가능하고, 반대로 주가 하락 시 최저점 33 USD 혹은 그 이하까지 더 하락할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투자 포인트...

 

이 종목은 미국을 대표하는 은행 주식으로 뉴욕 증시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미국 1등 은행인만큼 재무 안정성 또한 우수하기 때문에 투자하기 아주 적합한 종목입니다.

 

 

투자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이 주식의 차트는 시장 지표(나스닥, S&P500 및 다우 지수)와 커플링 됩니다. 현재 이 지수들이 저점을 찍고 반등 중이며, 이 종목 차트 역시 비슷한 움직임이기 때문에 지수 추종 ETF로 볼 수 있습니다.

 

 

2. 현재 미국 금리가 아직 4.50%로 높은 편입니다. 그래서 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은행 예금/적금으로 '자금 이동(Money Move)' 현상이 있으며, 이는 은행 실적(순 마진 확대)으로 이어집니다.

 

 

3. 미국 은행 중에서도 top pick이며, 월 가 애널리스트 역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강력 매수 혹은 매수)가 많으며, 현재 기준 목표가 48 USD(14.5% 상향) 전망이기 때문에 신규 매수 가능합니다. 

 

 

 

 

** 주의할 점 **

 

 

1. 다만 고금리가 장기화할 경우, 소비자 및 기업의 대출 부실로 인한 충당금 증가 우려는 조심해야 합니다. 

 

2. 미-중 무역 이슈가 아직 완화되지 않고 있습니다. 길어질 경우, 경기 침체 혹은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금융 및 모든 섹터에 악재가 됩니다. 이렇게 된다면 글로벌 증시 모두 저점 깨고 폭락할 우려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매수가: 40~37 USD 사이(or 40 USD 지지 시)

목표가: 45 USD(1차 매도. 48 USD 이후 자율 매도)

손절가: 35 USD 이탈 시    

댓글